*중립 금리가 뭐야?
중립 금리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을 부추기지 않는 금리 수준을 말해요.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목표로 잡은 물가 상승률을 달성하면서, 국가 전반의 경제가 완전히 효율적으로 돌아가는 금리를 뜻하죠. 한마디로 ‘가장 적절한’ 금리인 거예요. 경제가 균형을 이루는 금리라는 의미로 ‘균형 금리’라고 부르기도 해요.
한 나라의 경제가 완전히 효율적으로 작동해서 자본·노동력·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가 낭비되지 않고, 물가 상승도 유발하지 않으며 최대한 성장할 수 있는 전망치를 ‘잠재 성장률’이라고 부르는데요. 중립 금리는 곧 잠재 성장률을 달성했을 때의 금리예요.
당연히 한 나라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각국 중앙은행은 이 중립 금리가 몇 퍼센트인지 알고 싶어 해요. ‘최적의 금리’인 거니까요. 하지만 중립 금리가 실제로 얼마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어요. 경제적 상황 변화에 따라 매 순간 완벽한 균형을 이루는 금리 수준이 있기는 하겠지만, 구체적인 수치를 알아낼 수 없으니 사실상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는 개념인 셈이에요.
그래도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이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등 각국 중앙은행은 실제로 얼마일지 알 수 없는 중립 금리를 추정하기 위해 노력해요. 2022년 12월 기준 한국은행이 추정한 중립 금리는 2~3%대인 것으로 보인대요. 이렇게 추정한 중립 금리는 기준금리를 정하고 통화 정책을 펼치는 중요한 근거가 돼요. 다만 중앙은행이 추정한 중립 금리를 구체적 수치로 공개하지는 않아요.
알아두면 좋은 정보! 중립 금리는 영어로는 Neutral interest rate라고 부릅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이 '축구의 신' 메시와 그리는 OTT의 미래 (0) | 2023.08.30 |
---|---|
2024 정부의 파격적 '저출산 대책'에 관한 모든 것 (0) | 2023.08.30 |
한국판 챗GPT 네이버 ‘클로바X’ A to Z (리뷰 포함) (0) | 2023.08.27 |
50년 주택담보대출 논란 "앞으로 어떻게 되나요?" (0) | 2023.08.25 |
"2분안에 잠드는 수면 꿀팁" 잠 안올때 2분만에 잠드는 법! (0) | 2023.08.17 |
댓글